Algorithm/백준 알고리즘 파이썬(int-i)
-
1. 문제 2. 알고리즘 이분 탐색 (이분탐색 안쓰면 시간초과 발생/ 시간복잡도 문제) 3. 코드 # 10815 숫자카드와 거의 동일한 문제 def binary_search (arr,key,start,end): while start key: end = mid -1 else: start = mid + 1 return 0 ; T = int(input()) #첫째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들어온다 for i in range(T): N = int(input()) first_l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M = int(input()) second_l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result = [0] * M first_lst.sort() ..
2776.암기왕1. 문제 2. 알고리즘 이분 탐색 (이분탐색 안쓰면 시간초과 발생/ 시간복잡도 문제) 3. 코드 # 10815 숫자카드와 거의 동일한 문제 def binary_search (arr,key,start,end): while start key: end = mid -1 else: start = mid + 1 return 0 ; T = int(input()) #첫째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들어온다 for i in range(T): N = int(input()) first_l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M = int(input()) second_l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result = [0] * M first_lst.sort() ..
2023.08.02 -
1. 문제 2. 알고리즘 + 풀이 초기 코드 -> # -*- coding: euc-kr -*- import sys import io sys.stdout = io.TextIOWrapper(sys.stdout.detach(), encoding = 'utf-8') sys.stderr = io.TextIOWrapper(sys.stderr.detach(), encoding = 'utf-8') N = int(input()) lst = [0] * N #이렇게 초기화를 해야지, 대입 연산자 사용 가능 cnt = 0 for i in range(N): lst[i] = int(input()) key = lst[0] #다솜이가 기준 for i in range(1,N): #i=0이 다솜이 -> i=1부터 탐색 if (key l..
[1417]국회의원 선거1. 문제 2. 알고리즘 + 풀이 초기 코드 -> # -*- coding: euc-kr -*- import sys import io sys.stdout = io.TextIOWrapper(sys.stdout.detach(), encoding = 'utf-8') sys.stderr = io.TextIOWrapper(sys.stderr.detach(), encoding = 'utf-8') N = int(input()) lst = [0] * N #이렇게 초기화를 해야지, 대입 연산자 사용 가능 cnt = 0 for i in range(N): lst[i] = int(input()) key = lst[0] #다솜이가 기준 for i in range(1,N): #i=0이 다솜이 -> i=1부터 탐색 if (key l..
2023.07.26 -
1. 문제 2. 알고리즘 및 풀이 초기 시도 -> 에러 발생 N,K = map(int,input().split()) origin_li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','))) new_list = [] for i in range(K): # k = 2 for j in range(1,len(origin_list)): #n-1번 진행 (index=1 즉, 두 번째 원소부터 시작하니까) new_list[j-1] = origin_list[j] - origin_list[j-1] origin_list = new_list[:] 에러 발생 이유 for문 내부에서 리스트 값 재할당 시 문제 new_list[j-1] = origin_list[j] - origin_list[j-1] 이렇게 값을 변경하..
[1551] 수열의 변화1. 문제 2. 알고리즘 및 풀이 초기 시도 -> 에러 발생 N,K = map(int,input().split()) origin_list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','))) new_list = [] for i in range(K): # k = 2 for j in range(1,len(origin_list)): #n-1번 진행 (index=1 즉, 두 번째 원소부터 시작하니까) new_list[j-1] = origin_list[j] - origin_list[j-1] origin_list = new_list[:] 에러 발생 이유 for문 내부에서 리스트 값 재할당 시 문제 new_list[j-1] = origin_list[j] - origin_list[j-1] 이렇게 값을 변경하..
2023.07.26 -
1. 문제 2. 내 풀이 + 알고리즘 N = int(input()) max_prize=0 for i in range(N): value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value.sort() if (value[0]==value[2]): #같은 눈이 3개인 경우 prize= 10000+ value[0]*1000 elif(value[0]== value[1] or value[1] == value[2]): #같은 눈이 두 개인 경우 prize=1000+ value[1]*100 else: #모두 다른 눈인 경우 prize=value[2]*100 if (max_prize < prize): max_prize = prize print(max_prize) 3. 인프런 강의 n=int(input()..
[2476]주사위 게임1. 문제 2. 내 풀이 + 알고리즘 N = int(input()) max_prize=0 for i in range(N): value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value.sort() if (value[0]==value[2]): #같은 눈이 3개인 경우 prize= 10000+ value[0]*1000 elif(value[0]== value[1] or value[1] == value[2]): #같은 눈이 두 개인 경우 prize=1000+ value[1]*100 else: #모두 다른 눈인 경우 prize=value[2]*100 if (max_prize < prize): max_prize = prize print(max_prize) 3. 인프런 강의 n=int(input()..
2023.04.24 -
1. 문제 4. 새로 알게 된 내용 map 함수의 반환값을 직접 배열에 할당할 수 없다. N = int(input()) arr=[[0]*N for i in range(N)] for i in range(N): for j in range(N): arr[i][j] = map(int,input().split()) print(arr[1][2]) 위 코드로 2차원 배열을 생성하고, 입력으로 N개의 정수를 받아서, 배열의 각 요소에 할당하고자 하였다. 그러나, 출력이 되지 않고 입력만 무한히 하도록 구현되었다. => map함수의 반환값을 리스트화 시킨 후, 변환된 정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요소를 배열에 할당해야한다. N = int(input()) arr = [[0] * N for i in range(N)] for ..
색종이 만들기 (2630)1. 문제 4. 새로 알게 된 내용 map 함수의 반환값을 직접 배열에 할당할 수 없다. N = int(input()) arr=[[0]*N for i in range(N)] for i in range(N): for j in range(N): arr[i][j] = map(int,input().split()) print(arr[1][2]) 위 코드로 2차원 배열을 생성하고, 입력으로 N개의 정수를 받아서, 배열의 각 요소에 할당하고자 하였다. 그러나, 출력이 되지 않고 입력만 무한히 하도록 구현되었다. => map함수의 반환값을 리스트화 시킨 후, 변환된 정수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요소를 배열에 할당해야한다. N = int(input()) arr = [[0] * N for i in range(N)] for ..
2023.03.23 -
0. 스터디 주제 : 완전 탐색 알고리즘 1. 문제 2. 풀이 방법1: count() 함수 이용 word=input() obj_word=input() print(word.count(obj_word)) 방법2: split() 함수 이용 word=input() word_obj=input() split_lst=word.split(word_obj) //word에서, word_obj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리스트를 만든다. print(len(split_lst)-1) //split으로 분리되어 리스트에 저장된 문자열의 갯수는, 기준점의 갯수보다 1개 많을 것이다. >> 문자열a.split(문자열b) : 문자열 a에서 문자열 b를 기준으로, 문자열을 분리시켜 리스트를 만든다. : split() 메서드를 사용하며..
[1543] 문서 검색0. 스터디 주제 : 완전 탐색 알고리즘 1. 문제 2. 풀이 방법1: count() 함수 이용 word=input() obj_word=input() print(word.count(obj_word)) 방법2: split() 함수 이용 word=input() word_obj=input() split_lst=word.split(word_obj) //word에서, word_obj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리스트를 만든다. print(len(split_lst)-1) //split으로 분리되어 리스트에 저장된 문자열의 갯수는, 기준점의 갯수보다 1개 많을 것이다. >> 문자열a.split(문자열b) : 문자열 a에서 문자열 b를 기준으로, 문자열을 분리시켜 리스트를 만든다. : split() 메서드를 사용하며..
2023.03.14